국제화에 따른 도시단위의 경쟁이 가속화 되고 도시이미지 자체가 국가 및 지역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부각되면서 도시 환경의 특성화를 중시하는 개발전략의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새로운 개발 전략에 필요한 도시디자인 전문 인력의 수요예측에 따른 도시디자인 전공 기대수요가 증가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는 도시재생법, 공공디자인법을 통해 지자체에 도시재생과(팀), 공공디자인과(팀)을 운영하거나 신설 예정입니다. 따라서 디자인전문 공무원 인력이 대폭 필요한 상황입니다.
도시디자인은 종합적 디자인의 개념이 요구되는 분야로써 아직까지는 어느 한 분야의 영역 및 유형으로 확정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념적으로는 도시, 건축, 실내, 조경, 공공디자인, 문화 등 다(多)학제적인 학문분야로서, 융합교육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도시디자인융합 전공자는 이렇게 다양한 각 분야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각 분야에서 환경적, 기술적 또는 조형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을 담당하게 됩니다.